• 북마크
타입문넷

감상게시판

[출판물_네타] [사이버펑크 게임 속 해커로 살아가는 법] 설정도용과 영향의 경계는 어디까지인가?

본문

웹소설 사이버펑크 게임 속 해커로 살아가는 법과 게임 섀도우런 리턴즈의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근미래의 지구에 마법과 환상종들이 돌아오고, 엘프, 드워프, 오크 등 메타휴먼(metahuman)이 인간과 함께 살아가며, 드래곤들이 정재계를 손에 넣고 군림하는 가운데 대기업들이 사실상 세계를 지배하는 디스토피아적인 사이버펑크 세상에서 활약하는 해결사들의 이야기" 라고 하시면 무엇이 떠오르십니까? 



본작 <사이버펑크 게임 속 해커로 살아가는 법>이 바로 이런 이야기를 표방하고 있지만, 저는 그보다도 먼저 어떤 사이버펑크 장르의 TRPG 게임이 생각났습니다.  



아쉽게도 미처 캡쳐하기 전 삭제된 공지에서는 "섀도우런 (PC게임) 설정의 영향을 받았지만 도용한 것은 아니고, 그보다는 뉴로맨서에 더 가깝다" 라고 쓰여 있었는데, 과연 어디까지를 영향이라고 할 수 있을지, 설정도용을 의심할 개연성이 있는지 한번 확인해 보았습니다.



편의를 위해 (개인적으로는 일일히 번역, 요약하는 수고를 덜고, 다른 분들께서는 직접 확인해보실 수 있도록) 본작 25화까지의 문피아 무료분량과 나무위키 "섀도우런," "섀도우런 리턴즈" 항목을 발췌했습니다.




1.jpg



2.jpg

 


3.jpg

 

4.jpg

 

5.jpg

 

6.jpg

 

7.jpg

 

8.jpg

 

나무위키 설명에는 나오지 않았지만, 섀도우런에서는 (본질, 정수, 진수로 번역되는) 에센스(Essence)가 손상되면 마법 능력 또한 잃어버리고 맙니다.






9.jpg

 

(본작 6~14화 [뉴 홈] 편에서)




10.jpg

 

(섀도우런 리턴즈: 데드 맨즈 스위치에서)



대외적으로는 노숙자와 빈민을 돕는 선량한 자원봉사단체이지만, 사실은 이계의 정령을 인간의 육체에 강림시켜 숙주로 삼으려는 사교도 집단의 이름이 [지구의 '형제들'] 이라는 것도 상당히 수상쩍습니다.







또한 '런,' '러너'라는 용어에 대해 "저작권 걸린 용어는 하나도 안 나오니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제가 쓰는 용어들은 사이버펑크와 여타 판타지 소설들의 클리셰에 해당하는 것들 뿐입니다." 라는 말도 나왔는데요,


11.jpg

 

12.jpg

 

TRPG 게임 사이버펑크에서 넷런(Netrun)은 "(일종의 사이버스페이스인) 더 넷(the Net)에 접속하여 그를 통해 보안 시스템을 해킹하고 정보를 취득하는 작업", 넷러너(Netrunner)는 "사이버네틱스를 통해 뇌를 컴퓨터와 직접 연결한 최첨단 해커" 였습니다. (이 설정을 가져와서 카드 게임 넷러너안드로이드: 넷러너가 만들어지기도 했습니다.)



한편, 섀도우런에서는 섀도우런(shadowrun), 혹은 그냥 런을 "위법적, 혹은 준합법적 계획을 수행하기 위해 행해지는 일련의 움직임이나 행동" 라고 정의하는데, 이는 주로 라이벌 기업이나 조직 등에서 물리적, 전자적으로 상대의 보안을 뚫고 들어가 정보를 훔치거나 사보타주를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그리고 이 불법적이고 더러운 일을 대신해줄 전문적인 해결사가 바로 섀도우러너(shadowrunner), 혹은 러너입니다.



물론 영어에서 런과 러너라는 단어가 gunrunning, 혹은 rum-running에서처럼 '(불법적인) 물건을 밀수, 배달하다' '밀수꾼' 이라는 뜻으로 쓰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본작에서 내린 정의와 내용을 볼때 영어에서의 의미나 사이버펑크/넷러너에서 쓰인 의미보다는 섀도우런과 훨씬 더 흡사해 보입니다.







과연 단어 좀 바꾸고 설정 좀 고쳤다고 해서 이걸 그냥 '영향을 받았다' 고만 치부할 수 있을까요? 본작의 다른 리뷰 댓글에서 '운화' 님이 지적하신 것처럼, "단어 한 두 개도 아니고 설정부터 시작해서 수많은 단어 조합이 하필이면 섀도우런과 똑같이 조합되서 섀도우런과 똑같은 의미로 사용되는데 세계관까지 섀도우런과 99% 유사하면 표절 시비 걸릴만한거 아닌가?" 라고 충분히 말이 나올 법 하다고 느껴집니다. 이 작품이 무료였다면 또 모르겠지만 유료화한 이상 더더욱이요.



글쓴이께서는 (뉴로맨서로 물타기하려 들던 공지도 지우셨던데), 정말 저작권 문제에 대해 떳떳하시다면 섀도우런의 현 저작권자인 Catalyst Game Labs에 연락부터 해보시는게 순서라고 생각합니다. 
  • 7.92Kbytes
6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포인트 100
경험치 6,447
[레벨 11] - 진행률 87%
가입일 :
2008-10-24 22:02:52 (6046일째)


Firenze

1478

최신글이 없습니다.

최신글이 없습니다.

댓글목록 42

Serus님의 댓글

profile_image
이건 좀 심각하네요.

ReUdIn님의 댓글

profile_image
마법사를 먼저 조지라는 저 인용구까지 가져왔으면 좀;;

닥터회색님의 댓글

profile_image
마법사를 조저라가 있었어요? 이런.......뭐 영향받은건 어쩔 수 없고 캐피프레이즈니까 라고 넘길수도 있지만 이정도 되면 영향을 인정하고 정당히 용어 수정과 표절관련은 다 수정하는게 좋을거 같은데.......판타지풍 사펑이란게 아주 없는건 아니니까.....

실피리트님의 댓글

profile_image
'마법사부터 노려라' 도 아니고 특정 표현까지 그대로 가져왔으면 더 볼 것도 없는 것 아닌가요.

천은하님의 댓글

profile_image
세계관 차용한 팬픽션에 가까운 작품이 유료연재 가도되나 했었는데.. 역시 블랙이었나

<div>홍정훈이 레이펜테나 연대기를 묻어버린 이유가 2020년에 다시...</div>

아슈라스님의 댓글

profile_image
세계관 고유용어에 가까운건 다 수정해야할듯.

airis님의 댓글

profile_image
으음.... 생각했던 것보다 많은 부분에서 표절시비를 피하기 어려워 보이네요....

<div>용어수정, 설정변경으로 표절시비를 피하든지 아예 그쪽이랑 협의해서 공식화하든지 조치를 취해야 할 것 같네요...</div>

나태하고무료함님의 댓글

profile_image
재밌게 보던 작품이지만 이런건 좀 위험하긴 하죠. 개인적으로는 일뽕이 들어가서 곳곳에 일본문화가 혼재한 섀도우러너보단 사펑 해커가 더 입맛에 맞지만, 그렇다고 표절스러운게 없어지는게 아니니.

mumun님의 댓글

profile_image
<div>이거 타입문 연재때 봤지만 쉐도우런 팬픽 아니었나요?<img src="/cheditor5/icons/em/em2.gif" style="width: 50px; height: 50px; margin: 1px 4px; vertical-align: middle" alt="" border="0" /></div>

코페아님의 댓글

BalrallA님의 댓글

profile_image
저건 그냥 쉐도우런 설정문을 가져다 붙여 쓴 것처럼 보이는데요?

SolRaven님의 댓글

profile_image
팬픽인줄 알았는데 유료연재라길레 ??했었는데...음..

무닌님의 댓글

profile_image
여러가지로 수정을 좀 하면 걱정을 덜었을텐데 그대로 유료 가시더군요.<img src="/cheditor5/icons/em/em21.gif" alt="" border="0" style="width: 50px; height: 50px; margin: 1px 4px; vertical-align: middle" />

파란냄새삼각형님의 댓글

profile_image
작가분께서 좀 많이 당당하시길래 그런가보다하고 넘겼는데...

이정도 문제가 시정이 안되면 장르소설판 수준이 이영도 작가님이 DND 베껴먹던 시절이랑 별 다를게 없다는 것만 증명하는거죠 뭐

시렐양님의 댓글

profile_image
이런, 너무 당당하길래 설마했더니 표절일줄이야...

보라고양이님의 댓글

profile_image
이게 표절이 아니면 던전디펜스도 표절이 아니죠.<br />

dimension님의 댓글

profile_image
영향을 받았다 수준이 개인마다 판단 기준이 다 달라서...이정도면 표절이라는 사람도 있고, 아니다 그래도 고쳤지 않냐 하는 사람도 있으니까요.

<div>결국 도의적인 문제인데, 우리나라에 생소한 장르를 들고오면 발견하기 힘들죠. 구매수는 그럭저럭이던데 팬픽을 유료화한 느낌이더라구요.</div>

NBacon님의 댓글

profile_image
<div>그러고보니 아무 생각없이 섀런 팬픽이라고 생각하면서 무료분량 보고 있었는데 이거 유료 소설이었잖아?<img style="margin: 1px 4px; width: 50px; height: 50px; vertical-align: middle" alt="" src="/cheditor5/icons/em/em3.gif" border="0" /><br /></div>

Daseinz님의 댓글

profile_image
작가분이랑 쪽지로 이야기했었는데 말이 안 통해서(사이버펑크+판타지가 섀도런밖에 없으니까 비슷한 거라든가, 호비트 쓰다가 하플링으로 고치는 것도 통하는 동네에서  자신에게 오리지널리티가 없다니 당혹스럽다던가) 그냥 오래 사시라고 하고 접었습니다.

뭐 별일 안 날 겁니다. 오리지널리티 같은 거 전혀 신경 안 쓰는 세상인데요. 이영도 씨는 뭐 드래곤라자 관련해서 사과했던가요.

Daseinz님의 댓글의 댓글

profile_image
아, 카탈리스트랩에는 직접 신고하라고 하시더라고요. 자기는 떳떳하고 신고할 필요성을 못 느낀다고요.

RainBow님의 댓글의 댓글

profile_image
답이없네...&nbsp;&nbsp;

kayin님의 댓글

profile_image
웹소판은 설정 잘만 갖다 쓰죠. 헌터니 게이트니 성좌니 시장은 커져도 작가랑 독자들 의식은 드래곤라자, 더 로그 시절에서 전혀 발전이 없죠.

잉여zero님의 댓글의 댓글

profile_image
설정 같은 경우 정말 고유한 것이 아니라면 상관 없습니다. 저작권은 아이디어가 아니라 표현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이죠.

<div><br /></div>

<div>헌터, 게이트, 성좌 같은 경우는 장르적 클리셰로 자리잡았고, 그 자체만으로는 문제가 되기 어렵습니다.&nbsp;</div>

<div><br /></div>

<div>그것을 작품 내에서 풀어내는 방향이 일치하는가는 문제가 될 수 있겠지만요.</div>

보라고양이님의 댓글의 댓글

profile_image
이번 건은 단순 설정의 문제가 아니라 고유명사마저 끌고 온 케이스라...... 드래곤라자같은 경우도 D&D의 주문, 아이템 등의 고유명사를 그대로 가져와서 문제가 됐던 것이니까요.

클리셰들(ex. 보편적인 설정, 규칙)들은 보통 문제가 안되죠. 고유한 것들이 문제지.

팥빵님의 댓글

profile_image
무료일때는 팬픽이라고 생각하고 보고 있었습니다만

<div>유료화 한다는 것을 보고 그냥 버렸죠.</div>

<div>저건 지나치게 도용이라 도용된 부분을 빼내려한다면 글을 내려야 하는 수준입니다.</div>

수화물님의 댓글

profile_image
요즘은 글 쓰는 걸 너무 자기 줏대 적용해서 밀어버리는 사람이 많은 것 같습니다

강철의솔라리팬던트님의 댓글

profile_image
요즘 돌아가는 거 보면 그냥 이대로 밀고 가도 아무런 제재도 뭣도 없을 거 같네요. 표절이라손 쳐도 단어랑 문장 순서만 바꾸면 그냥 묻고 가던데

schwart님의 댓글

profile_image
원래 서브 컬쳐 바닥이 설정을 많은 사람이 가져다 쓰면 장르 유사성이고 소수가 가져다 쓰면 표절인 동네라

양판소 소리가 괜히 나왔답니까 설정 복붙 덩어리 들인 것들 투성이니 나왔지 그 양판소에서 하던거 그대로 한 거죠 뭐 소드마스터니 뭐니 하던 용어들도 처음엔 고유 명사였었을꺼 생각하면 뭐

블띵님의 댓글

profile_image
결국 고치겠다는 공지가 나왔습니다

Serus님의 댓글

profile_image
오늘 날자로 사 과 문이 올라왔는데 갈길이 멀었죠.  양판소 시절에도 설정복붙이 심각했는데 자기 저작권은 챙기면서 본인은 저작권은 안지키는 문화는 근절해야합니다.

v멕스님의 댓글

profile_image
드라시절부터 내려오는 유서깊은 전통...

모튼님의 댓글

profile_image
재밌게 보긴 하는데 도용인 건 명확한지라.

룸펜님의 댓글

profile_image
다른 건 넘어가겠는데. 나름 댄디 덕후이고 한때 섀도런도 해본 경험자로서 한가지 알려드리자면.<br /><br />'마법사를 먼저 조져라'는 TRPG 계에서 D&amp;D로부터 물려 내려져오는 유서 깊은 격언입니다. D&amp;D에는 아예 마법사 카운터하기 위한 클래스(몽크, 메이지 슬레이어)도 있을 정도로 상식의 영역입니다. 대중성으로도, TV트루페에서도 Shoot the mage first 밈으로 기재돼있을 정도죠. 딱히 섀도런이나 사이버펑크만의 고유의 뭔가는 결코 아닙니다.<br /><br />섀도런이 저 용어에서 고유 창작성을 주장할 수 있는 부분은 geek 입니다. 영단어 geek 에는 백날 찾아봐도 조져라, 죽여라 라는 뜻이 없습니다. 섀도런 세계 내에서 사용하는 슬랭으로, geek이란 말이 to kill 이란 의미로 사용되죠.<br /><br />그래서 누군가 geek the mage first 하면 섀도런 용어의 표절/도용/오마주가 맞습니다. 하지만 마법사를 먼저 조져라, 죽여라, 쏴라 라는 건 섀도런하고 관계 없는 보편 밈입니다.

<div><br /></div>

<div>물론 다른 것하고 엮어서 세트로 보면, 아 이거 영향 받은거 백퍼 맞네인데...&nbsp;<span style="font-size: 9pt">표절과 도용과 오마주는, 되게 경계가 상당히 불투명하거든요. 이게 사람들의 심정하고 업계의 현실이 좀 떨어져 있는 편이라. 예를 들면 철자 하나 고치고 저작권 회피하는 건 이 바닥에서 통용되는 일반적인 수법이거든요. 미스릴을 미스랄로 부르는 식으로.<br /></span></div>

공자님의 댓글의 댓글

profile_image
DnD 스펠 캐스터들의 악명을 들었다 보니 신뢰도가 급상승하는군요

Porthos님의 댓글의 댓글

profile_image
네. 만약 사용된 어휘가 '죽여라,' '노려라,' '잡아라' 등이었다면 뭐라고 하기 힘들었을 겁니다. 헌데 본작에서는 한국에서 'geek' 의 역어로 쓰여 위키에까지 실린 '조져라' 라는 단어가 "마법사를 (가장) 먼저 조져라" 라는 문구에 그대로 들어갔고, 이 전후 "총알은 절대 다 쓰지 마라 - 총알 아껴라," "언제나 등 뒤를 경계해라 - 뒤통수 조심해라," "불멸자들과는 엮이지 마라 - 드래곤과는 엮이지 마라." 처럼 섀도우런의 유명 문구가 살짝만 바뀌어서 나온 것을 보고 도용을 의심할 개연성이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글쓴이도 "경구: 오마쥬로 차용했습니다." 라고 인정했고요

페일미스트님의 댓글

profile_image
이거 뭐 거의 팬픽을 돈받고 파는 수준이군요;;<br />

Luklim님의 댓글

profile_image
뭔가 비슷하긴한데 애매하게 느껴지네요...저게 딱 표절이라고 하기에는 빠져나가려면 얼마든지 빠져나갈 수 있는 그런 느낌...?

운화님의 댓글

profile_image
제가 쪽지로 나눈 대화는 의외로 좋게 끝나서 공지로 자기 주장 정리해서 밝히고



<div><br /></div>

<div>표절 문제는 뭐 가장 확실한건 카탈리스트 랩에 문의하는거라 그 쪽으로 해결하실 줄 알았는데 공지 지우고 사과문을;</div>

<div><br /></div>

<div>허허 참...</div>

Wimps님의 댓글

profile_image
확실히 재밌긴한데...용어같은 부분 거의 따온거면 몰랐을까 특정 문구까지 따오셨군요. 따온 원작을 잘 몰랐는데 이런일이 있었다니. 톨킨옹처럼 쉐도우런이 그 장르에 다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하면 용어나 종족설정은 충분히 따올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문구까지 따온건 좀...애매하긴 하네요.<img src="/cheditor5/icons/em/em6.gif" alt="" border="0" style="width: 50px; height: 50px; margin: 1px 4px; vertical-align: middle" />처음부터 여러설정들 쉐도우런에서 많이 차용하고 따왔다고 밝히고 시작했으면 이런 일도 안일어났을거 같지만 안타깝습니다.

ANTInumber님의 댓글

profile_image
섀도우런 팬픽 비슷한 거라고 생각하면 재밌는데, 유료화한다면 문제가 생기지 않을까요?

laynare님의 댓글

profile_image
문넷에서 연재하셨고, 문피아인가 노란책인가에 가서 연재하신다고 했던 것 같은데요. 저렇게 까지 수정이 없이 그냥 올리신 거면 쉴드를 쳐드리기 곤란합니다;

Serus님의 댓글

profile_image
문피아에서 내려갔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