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물_네타] [변호사 쉬헐크] '1화만 봤는데 벌써 불안한'이란 말을 언제쯤 안 쓸 수 있을까?

본문
불안불안한 시작을 하고 있는 쉬헐크입니다.
........왜 스타워즈 시퀄에서 하던 짓거리를 또 하고 있는 걸까. 각본가 같은 놈이냐?
슈퍼히어로 무비는 사실 치트키가 기본입니다. 기연으로 갑자기 힘을 얻어서, 수련이나 그딴 거 안 해도 되는 그런 '도약'의 이미지, 폭발적인 성장은 매우 중요하죠.
문제는 프랜차이즈를 계승하는 2세대 히어로의 경우입니다. 1대 히어로라는 견본이랄까 스승이 있으면 아무래도 좀 차근차근 힘을 얻어가는 과정이 들어갈 수밖에 없죠. 이건 상식적으로 그럴 수밖에 없습니다. 나름대로 히어로로 완성된 1대 히어로가 무책임하게 '응 그냥 너 하고 싶은대로 해봐'라고 힘만 던져주고 갈 수는 없잖아요.
그 점에서 저는 스파이더맨 홈커밍은, 물론 아이언맨이 자기 힘을 스파이더맨에게 그대로 물려준 건 아니지만, 제대로 고찰된 2세대 히어로 성장기라고 봅니다. 이런 식으로 쌓은 노하우로 연출만 잘 하면 2세대의 계승을 관객들에게 잘 이해시킬 수 있겠다 싶었죠.
노하우 어디갔냐.
물론 수련은 지루합니다. 그러니 숏컷, 스킵을 원하는 건 자연스러워요. 근데 그럼 그만한 부작용이 있어야죠.
1세대 히어로들이 좌충우돌하며 성장해가는 과정은 자신의 변화를 받아들이고 그것으로 히어로인 자신을 완성해가는 시행착오입니다. 헐크 같은 폭발적인 능력은 더더욱 그렇죠.
수련 없는 기연은 그런 부작용을 겪어야 합니다. 그럼으로써 또 이야기가 만들어지는 것이고. 처음부터 잘 다듬어지고 완성된 히어로이고 싶다면, 기연을 소화하는 수련도 필요한 게 당연한 겁니다.
물론 쉬헐크는 법률가라는 아이덴티티가 있기 때문에 그쪽에서 이야기를 만들 수 있겠죠. 하지만 그와 별개로 관객이 캐릭터의 형성을 함께 따라갈 수 있어야 하는 겁니다.
소위 '1세대에 대한 존중'이라는 건 사실 정말 존중하라는 게 아닙니다. 까놓고 말해 캣콜링에 헐크 모드가 될 정도로 분노하면서 정작 자기는 캡틴 아메리카가 그 엉덩이로 죽을 때까지 동정이었는지 하는 성희롱을 하는 이중적 면모는 그냥 유머러스하게 받아들일 수 있어요. 캣콜링은 정말 범죄로 이어질 수 있지만 캡아에 대해선......뭐 셀럽이라면 그런 뒷담 익숙해져야지. 그런 것까지 캡아를 존중하라는 게 아닙니다.
팬들이 말하는 '존중'이란 그게 아니라 새로운 캐릭터가 기존의 이야기에 합류하는 과정에서 팬과 내적 친숙함을 형성할 완급 조절을 말하는 겁니다.
아직까지는 쉬헐크가 존중을 하네 안 하네 말할 건덕지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브루스 배너가 틀렸다고 당당히 말하지만 사실 나중에 스토리 전개를 통해 결국 그가 옳았음을 인정하고 사과나 화해를 할지도 모르는 일 아닌가요. 그럴 일이 별로 없어보이지만 아직 가능성은 있어요.
왜 헐크가 그렇게 살게 되었는가를 이해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기는 자기의 삶을 관철해 나가겠다는 결심을 하며 드라마의 엔딩을 맞이할 수도 있겠죠. 헤겔의 정반합 원리는 사실 픽션에 적용될 때 황금률이 되는 개념이니까, 브루스의 헐크에 대한 젠의 반발이 나중에 어떻게 제3의 길을 찾게 되는가 하는 과정만 그려도 이 드라마는 성공적이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제가 말하고 싶은 건, 그 '브루스의 헐크'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것 같다는 불안입니다.
젠의 유전자는 브루스와는 약간 달리 헐크 상태에서도 어려움 없이 이성을 유지할 수 있는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헐크 인격도 따로 없고. 운이 좋네요. 아마 사고 당시 브루스의 혈액이 소량만 들어갔기 때문일지도 모르지만. 어쨌든 설정상 개연성 있게 헐크의 15년을 스킵할 수 있다고 주장할 근거는 만든 셈입니다.
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노를 조절하는 것은 헐크에게 필수죠. "나에게는 군대가 있다"/"그래? 우리에겐 헐크가 있어"라고 말할 정도의 파괴력을 지닌 헐크와 대등하게 싸울 수 있는 힘이라면 당연히 감정조절은 필수입니다.
여기가 중요한데, 젠은 그 분노 조절에 대해 사회생활을 하며, 또 여자로서 받아온 여러 가지 '짜증나는'(솔직히 이걸 '분노'라고 부르기도 뭣하다고 생각합니다) 일을 잘 대처하며 자기 마음을 다스려왔으니 괜찮다고 말합니다. 요컨대 난 여자라서 이미 특별하다 이거죠.
................뭐, 그거야 시청자 중 여자들이 자신이 젠이 된 것 같게 느끼게 하려는 얄팍한 동일시 전략 같지만, 그건 넘어갑시다. 제가 말하려는 건 이 다음입니다.
젠은 그 분노 조절을 하는 이유에 대해 말합니다.
"안 그러면 내가 사회적으로 불이익을 받거나, 어쩌면 배에 칼이 박힐 수도 있으니까."
..........저는 여기서 브루스가 그걸 수긍했다는 게 캐붕이라 봅니다.
제 생각에 브루스는 이렇게 말했어야 합니다.
"그래, 그런데 이제는 그렇게 화를 내도 절대 배에 칼이 박히지 않아! 그런데도 참을 수 있겠어?"
약자라서, 보복이 두려워서 참아야만 하는 분노조절과..........주변을 망가트릴 수 없어서 참아야만 하는 분노조절은 정반대죠.
더이상 참을 필요가 없는데도 참아야만 하는 건 여태껏 젠이 참아왔던 알량한 인내와는 전혀 다릅니다. 헐크의 인내예요.
이게 헐크가 영화 버전에서 쌓아온 인내이고, 헐크가 겪어온 15년입니다. 젠은 이걸 전혀 몰라요. 그저 '사람들과 떨어져서, 가족하고도 연락을 끊고 혼자 사는 게 사람 사는 거냐'고 묻죠. 이런 천박한 힐문에 제대로 반박하지 못한 것은 브루스가 그렇게 살게 된 개연성 자체를 해치고 브루스 배너를 그냥 상등신으로 만드는 캐붕 그 자체입니다.
결국 이 지점에서 쉬헐크 제작진은 헐크에 대한 고찰을 전혀 하지 못했다는 얘기고, 이 부분이 드라마의 맹점으로 존재하는 한 이 드라마는 망하는 길로 가게 될 겁니다.
똑같이 괴력을 지닌 초인 여성이라는 점에서 제시카 존스 시리즈는 오히려 여성의(혹은 개인의) 상처와 피해에 대해 제대로 다루고 있다 하죠. 그쪽이야말로 진짜 억압에 맞서싸우며 상처투성이가 되어서까지 승리하는 진정한 여성승리가 아닐까요.
그냥 보기에 멋진 여성 히어로를 원하면 헐크가 아니라 슈퍼솔저 혈청을 맞았어야죠. 스스로도 제어 못하는 위험성이야말로 헐크라는 캐릭터의 근본이고 매력인데 그걸 그렇게 깎아내면 이게 그냥 여자 캡틴 아메리카밖에 더 될까요?
- 7.39Kbytes

-
자유창작1관 - [한백무림서 if] 신풍뇌협 -752025-05-10
-
자유창작1관 - [한백무림서 if] 신풍뇌협 -742025-04-29
-
자유창작1관 - [한백무림서 if] 신풍뇌협 -732025-04-25
-
자유창작1관 - [한백무림서 if] 신풍뇌협 -722025-04-20
-
자유창작1관 - [한백무림서 if] 신풍뇌협 -712025-04-19
-
자유창작1관 - [한백무림서 if] 신풍뇌협 -702025-04-18
-
자유창작1관 - [한백무림서 if] 신풍뇌협 -692025-04-09
-
감상게시판 - [승부] 이게 12세라고?2025-03-27
-
영상게시판 - 이제 크툴루도 찢어버리는 건가........!4시간 1분전
-
자유게시판 - ???: 에잉, 옛날 잇키는 화끈하게 불태우고 박살내고 했는데 요즘 것들은...쯧쯧2025-05-13
-
자유게시판 - 고려대 들어갈 정도면 이미 뭐......2025-05-13
-
영상게시판 - 태권둠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뭡니깤ㅋㅋㅋㅋㅋㅋㅋㅋㅋ2025-05-12
-
자유창작1관 - 그치만 안도르가 아직 덜 나왔는데요!2025-05-11
-
자유창작1관 - 뭐뭣.....!2025-05-11
-
자유창작1관 - 이렇게 단편으로 위트있게 마무리한다면 이것도 좋아 보입니다. 그러나 유머 느낌을 빼고 진지한 헌터물 소재였다면 주인공은 따로 있고 심청은 '과거에 그런 전설적인 해녀가 있었다더라'하는 식으로 쓰는 게 맞겠습니다. 해녀, 즉 여자만 헌터가 될 수 있다면 헌터물보다는 마법소녀물로 가보시는 것이 어떨까 싶습니다. 마마마 같은 다크하고 진지한 느낌+프리큐어나 심포기어 같은 배틀중시 전개+크툴루(너무 크툴루 그 자체면 싫어하는 사람이 있더라고요)나 워해머같은 그림다크한 적들 같은 요소라면 독특하고 참신할 것 같습니다2025-05-11
-
자유게시판 - 초 장왕이 말하길 "3년을 울지 않은 새는 한 번 울면 사람을 놀라게 할 것이요, 3년을 날지 않은 새는 한 번 날면 하늘을 찌를 것이다." 20년 동안 울지 않고 날지 않은 이글스는 어디까지 갈지 궁금하네요.2025-05-08
댓글목록 20
쟌리님의 댓글
아스펠님의 댓글의 댓글
다라라기님의 댓글
아스펠님의 댓글의 댓글
물길랩소디님의 댓글
글쓴 분 말마따나 존중이라는게 무조건 선배마냥 모셔라-는게 아니라 완급조절이 필요한데, 요즘 돌아가는꼴은 그냥 이미 주연이 아니고 한물간 퇴물취급이고 비중을 개연성 버리고 후계자들에게 넘겨버리는게 가장 큰 문제로 보이기도 하네요. 그놈의 여성 어쩌구는 일단 둘째치고.
본문에 나온대로 헐크의 인내라는게 주위에서 쏟아지던 불만을 참는거랑, 그걸 다 부술 수 있는 분노조절장애의 인내는 아예 급이 다른 개념인데 저렇게 말했다고하니 참 어이가 털리긴하네요.
아스펠님의 댓글의 댓글
디아몬드님의 댓글
여자가 남자한테 무조건 순종적이어야 한다는 게 성차별이라면, 저건 저것대로 또다른 형태의 성차별이 아닌가 싶은데 말이죠.
아스펠님의 댓글의 댓글
그리고 무엇보다, '헐크'라는 힘은 자제에 또 자제를 거듭해야 하는 무지막지한 강자인데? 그 포지션에서도 그 정신머리라고?
DawnTreader님의 댓글
아스펠님의 댓글의 댓글
DawnTreader님의 댓글의 댓글
아스펠님의 댓글의 댓글
물론 그 뒤를 어떻게 이어나갈 건지는 남겨진 과제입니다만, 지난 시리즈에서 얻은 것을 전부 손에서 놓고 새로 시작한다는 점에서는 2세대 히어로들과 발을 맞추면서도 또 그들의 중심이 될 자격이 충분하지 않은가 생각합니다.
노히트런님의 댓글
그런걸로 따지면 호르몬이라는 화학의 마술은 왜 무시를 하는건지. 왔다갔다 감정의 롤러코스터라고 스스로 말하지않습니까.
키바Emperor님의 댓글
남자는 무조건 깔아보고 무시해도 되고 여자는 여자라는 이유로 올려치는게 '당연'한 거니까요.
알리바바님의 댓글
내가 본거랑 전혀 다른거 같은데...
아스펠님의 댓글의 댓글
영원의여행자님의 댓글
Dolce님의 댓글
디즈니가 맛탱이 간 건 디즈니 프린세스 영화가 막나갈때부터 알았지만 MCU도 스타워즈 꼴 날까 생각하면...
디미트리님의 댓글
Cthulhu2님의 댓글